안녕하세요. 사업하는 철학자입니다.
한문공부를 하면서 사서삼경만큼 널리 알려져 있진 않지만, 소학(小學)과 더불어 많이 공부되고 있는 문집인 고문진보를 소개할게요.
古文眞寶: 옛 글 중 참된 보배만 모아둔 책
*소학:
1187년(남송 순희 14)에 완성되었으며, 내편(內篇) 4권, 외편(外篇) 2권의 전 6권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일상생활의 예의범절, 수양을 위한 격언, 충신·효자의 사적 등을 모아 놓았다.
송나라 주자(朱子)가 엮은 것이라고 씌어 있으나,
사실, 그의 제자 유자징(劉子澄)이 주자의 지시에 따라 편찬한 것이다.
유교의 도덕적이고 실천적인 배움의 내용을 강조하는 수신서로서,
성리학에 뜻을 둔 유생뿐만 아니라 민간에까지 널리 읽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충효사상을 중심으로 한 유교 윤리관을 널리 일으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평가됨.
고문진보
『고문진보』는 송나라 말기 학자 황견(黃堅)이
전국시대부터 송나라 말기까지의 고시와 산문 등을 모아 엮은 시문집입니다.
총 20권 10책이며, 각 10권 씩 전집과 후집으로 구분됩니다.
전집은 「권학문(勸學文)」을 비롯한 고시를 주로 수록하였고, 후집은 17가 형식의 산문이 담겨 있습니다.
당송팔가(唐宋八家)의 문장을 주축으로 한 것은 사실이지만, 책의 성격에 있어서는 『당송팔가문』과 다릅니다.
『당송팔가문』은 ‘고문체’만을 수록하였는데,
『고문진보』에서는 고문체와는 정반대라고 할 수 있는, 「북산이문(北山移文)」과 「등왕각서(滕王閣序)」와 같은 변려문을 수록하였고, 「이소경(離騷經)」과 같은 초사도 담고 있습니다.
*중국 역대 왕조:
하-은-주-춘추전국-진-한-삼국시대-진-남북조시대-수-당-5대 10국-송-요-금-원-명-청-중국
전집 10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 권 1 · 2 오언고풍단편
- 권 3 오언고풍장편
- 권 4 · 5 칠언고풍단편,
- 권 6 칠언고풍장편
- 권 7 장단구
- 권 8 가류(歌類)
- 권 9 행류(行類)
- 권 10 음(吟) · 인(引) · 곡류(曲類)
후집 10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 권 1 사(辭) · 부류(賦類)
- 권 2 설(說) · 해류(解類)
- 권 3 서류(序類)
- 권 4 기류(記類)
- 권 5 잠(箴) · 명류(銘類)
- 권 6 송(頌) · 전류(傳類)
- 권 7 비(碑) · 변류(辨類)
- 권 8 표류(表類)
- 권 9 원(原) · 논류(論類)
- 권 10 서류(書類)
한국에서 『고문진보』는 고려 말에 수입됐고, 그 후 고문의 연변(演變)과 체법(體法)과 같은
고문의 문체를 익히기 위한 아동용 교과서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습니다.
이 책에 대한 각종 주석, 그리고 언해본 · 현토본 등이 있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조선시대 문장학의 학습용 도서로서 폭넓게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문진보 음미하기
<어느 노학자의 젊은 시절> 심재기, 2023.9 주문제작 도서에서,
저자는 고문언해산고(古文諺解散藁) 장 하에, <고문진보> 중 다음과 같은 문장을 골라 모았습니다.
1.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 | 141
2. 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辭〉 | 145
3. 유우석劉禹錫의 〈누실명陋室銘〉 | 149
4. 이태백李太白의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 152
5. 한퇴지韓退之의 〈잡설雜說 마설馬說〉 | 155
6. 소동파蘇東坡의 〈적벽부赤壁賦〉 | 158
7. 주무숙周茂叔의 〈애련설愛蓮說〉 | 164
8. 사마광司馬光의 〈독락원기獨樂園記〉 | 167
9. 소순蘇洵의 〈명이자설名二子說〉 | 170
10. 제갈량諸葛亮의 〈출사표出師表〉 | 173
11. 한퇴지韓退之의 〈사설師說〉 | 180
12. 유령劉伶의 〈주덕송酒德頌〉 | 186
13. 왕희지王羲之의 〈난정기蘭亭記〉 | 189
14. 범희문范希文의 〈악양루기岳陽樓記〉 | 194
15. 도연명陶淵明의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 | 199
16. 소식蘇軾의 〈후적벽부後赤壁賦〉 | 203
17. 이밀李密의 〈동정표陳情表〉 | 208
18. 제갈량諸葛亮의 〈후출사표後出師表〉 | 214
19. 정이程頤의 〈사물잠四勿箴〉 | 222
20. 가의賈誼의 〈조굴원부弔屈原賦〉 | 227
21. 중장통仲長統의 〈낙지론樂志論〉 | 232
22. 장온고張蘊古의 〈대보잠大寶箴〉 | 235
23. 한유韓愈의 〈원인原人〉 | 242
24. 구양수歐陽脩의 〈취옹정기醉翁亭記〉 | 245
25. 백거이白居易의 〈양죽기養竹記〉 | 250
26. 당경唐庚의 〈가장고연명家藏古硯銘〉 | 255
27. 한유韓愈의 〈백이송伯夷頌〉 | 259
28. 유종원柳宗元의 〈우계시서愚溪詩序〉 | 262
29. 왕우칭王禹偁의 〈황주죽루기黃州竹樓記〉 | 267
소식, 제갈량, 정이, 한유, 구양수, 백거이, 왕희지, 굴원 등
딱 봐도 익숙한 이름들이 꽤 많죠.
허균은 "『고문진보』는 한 사람이 우연히 모아놓은 것이라서 그 취사가 확실하지 않으니 읽지 않는 것이 좋다.”라고도 평가했지만,
현대의 우리에게는 고대 중국의 풍류와 작풍을 알아볼 수 있는 자료이겠습니다.
그중 일부를 보고 끝낼게요.
전집-권학문-권학가3
총 8개의 권학가 중, 사마광(司馬光)이 쓴 권학가입니다.
養子不敎父之過, 訓導不嚴師之惰라
자식을 기르면서 가르치지 않음은 아버지의 허물이고,
가르침을 엄하게 하지 않음은 스승의 나태함이다.
父敎師嚴兩無外, 學問無成子之罪
아비는 가르치고 스승은 엄하여 둘 다 도리에 벗어남이 없는데,
학문을 이루지 못함은 자식의 잘못이다.
煖衣飽食居人倫, 視我笑談如土塊
따뜻하게 입고 배부르게 먹으며 사람 사이에 살면서,
나 (같은 늙은이)를 보고 웃으며 이야기하면 흙덩이 같은 하찮은 사람이다.
攀高不及下品流, 稍遇賢才無與對
높이 오르려다 미치지 못하여 하류의 무리들과 휩쓸리는 것은,
어진 인재를 만나도 상대할 수 없다.
勉後生力求誨, 投明師莫自昧
노력하라 후생들이여, 힘써 가르침을 구하고,
훌륭한 스승에게 의지하여, 스스로 몽매함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一朝雲路果然登, 姓名亞等呼先輩
어느 날이고 출세길에 나아가기만 하면,
훌륭한 이와 이름을 나란히 하여 당장 선배라 불리게 된다.
室中若未結親姻, 自有佳人求匹配
집안에서 만약 아직 혼인을 맺지 못하였다면,
자연히 아름다운 사람이 있어 배필을 구하게 된다.
勉旃汝等各早修, 莫待老來徒自悔
그대들은 힘써 노력하여 각자 서둘러 배움을 닦아,
늙음이 오길 기다렸다가 헛되이 후회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집-오언고풍 단편(五言古風短篇)-칠보시(七步詩)
한 구가 다섯 글자로 된 오언시는 한 무제(武帝) 때부터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외교관이었던 소무(蘇武)와 장군 이릉(李陵)이 흉노 땅에서 주고받았던 시가 바로 오언시라고 전해집니다.
당시 음악을 관장하던 악부(樂府)에서, 이후 백여 년 동안 각 지방에서 유행하던 민가(民歌)들을 많이 수집하였습니다.
민요의 가사들은 처음에는 글자 수가 일정하지 않았으나 점차 오언시의 형식을 갖추게 되었고,
문인들도 차츰 오언시를 짓게 되었습니다.
그 중 칠보시, 일곱 걸음에 지은 시라는 조식(曹植, 192~232)이 지은 시를 볼게요.
조식은 삼국 시대 위(魏) 나라 무제(武帝) 조조(曹操)의 셋째 아들이며,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동생입니다.
조조ㆍ조비와 함께 삼부자는 당시 건안(建安) 문학을 주도하며 많은 걸작을 남겼는데, 문집으로 〈조자건집〉 10권이 전해집니다.
어릴 때부터 천재적인 재주를 발휘하여 조조의 사랑을 많이 받았으나,
형 조비에게 미움을 받아 조비가 천자가 된 후에는 불우한 나날을 보냈습니다.
이 시는 조비가 아우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 시 한 수를 지으라고 명하자,
조식이 형제가 다투는 비극을
같은 뿌리에서 난 콩깍지를 태워 콩을 삶는 것에 비유하여 지은 것입니다.
煮豆燃豆萁
자두연두기
콩을 삶는데 콩대를 태우니,
豆在釜中泣
두재부중읍
콩이 솥 속에서 우네.
本是同根生
본시동근생
본디 같은 뿌리에서 났는데,
相煎何太急
상전하태급
서로 들볶기가 어찌 저리 심한가.
고문진보 목차
을유문화사 2007년 목차 참고하세요.
[출처: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576082]
형식, 운율에 얽매이지 않는 최근의 시들도 좋지만,
이렇게 형식을 꼭 지켜가며, 발음까지 고려해서 지은 시들은
그 작문 실력이 놀라운 한편, 여러 생각할 거리를 줍니다.
한문 시의 묘미네요.
'공부와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자(荀況)-유학자, 고대사상 집대성자 (3) | 2025.02.01 |
---|---|
천자문 살펴보기 (상) 1-320 (0) | 2025.01.22 |
경전 기초: 주역과 그 구성 (0) | 2025.01.20 |
위백규 존재집(存齋集) 권6, 권8 논어차의 (1) | 2025.01.19 |
정조 18년 10월 9일 癸亥 2번째 기사 (0) | 2025.01.18 |
<중용(中庸)> 27장-33장 원문 및 번역 (1) | 2025.01.16 |
<중용(中庸)> 19장-26장 원문 및 번역 (3) | 2025.01.15 |
<중용(中庸)> 11장-18장 원문 및 번역 (1) | 2025.01.13 |